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2025년 기준 중위 소득표를 알아보겠습니다. 2025년도 급여별 선정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(6.42%) 인상되었습니다. 

   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이 2024년 572만 9913원에서 2025년 609만 7773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 

     

  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
    (단위:원)

    출처:창원청년정보플랫폼

     

    중위소득 모의계산

     

    복지로에서 기준 중위소득 모의계산을 할 수 있으니 아래 모의계산 확인해 주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기준 중위소득?

     

   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초생활 보장제도 및 각종 복지 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,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가구 소득의 중간값입니다. 

     

    기초생활 소득인증액 모의계산하기

     

   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를 위해 소득인증액을 모의계산하여 대상자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 

     

    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(근로, 사업소득 등) + 소득환산액(재산, 보증금 등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별 선정기준 변경

     

    2024년도 및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

     

   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4인기준 6.42% 인상, 1인가구 기준 7.34% 인상되었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급여별 선정기준

     

    역대 최고 수준의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저소득층을 두텁게 지원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생계급여 최저보장 수준

     

   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인상되었습니다. (4인가구 기준 6.42%)

    이에 따라 생계급여를 올해 대비 월 12만원(4인가구) 더 지원받게 됩니다. 

     

    - 4인 가구 기준(6.42% 인상) : 월 1,833,572원 → 월 1,951,572원(+120,000원)

    - 1인 가구 기준(7.34% 인상) : 월 713,102원 → 월 765,444원(+50,000원)

     

    ※ 각 가구별 실제 지원되는 생계급여액은 선정기준액에서 해당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차감한 금액입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의료급여 최저 보장 수준

     

   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자 본인 부담 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주거급여 최저 보장 수준

     

    임차급여 기준 임대료를 2024년 대비 최대 2.4만 원(7.8%) 인상합니다. 

    4년간 건설공사비 상승률을 반영, 수선유지급여 수선한도를 29% 인상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교육급여 최저 보장 수준

     

    2025년 교육활동지원비, 2024년 대비 평균 5.0% 인상하여 저소득층의 교육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합니다. 

     

    - 초등학교 : 487,000원

    - 중학교 : 679,000원

    - 고등학교 : 768,000원

    ※ 무상교육 제외 고등학교에 재학 시 입학금 및 수업료, 교과서비를 실비로 지원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출처:복지로
    소득소득소득
    소득소득소득
    소득소득소득
    소득소득소득
    소득계산계산
    계산계산

     

    반응형